정신분열증정신분열증은 청소년기에 발병을 하는 대표적 정신병으로서 환청, 환시, 관계사고, 피해의식, 망상, 부적절한 행동, 극심한 정서불안을 겪는 질병입니다. 일단 증상이 가라앉아도 회피적, 자폐적인 사회적 모습을 보이며 타인과의 관계를 피하게 됩니다. 일단 약물치료를 통해서 큰 증상들은 완화되지만 잔류증상(무기력, 게으름, 우울감, 무능력, 발전을 위한 노력의 결여 등)으로 인해 사회적 대인관계의 문제 정상적인 경쟁적인 직업활동 및 정상적인 결혼 생활 불가능한 상태로 인생의 발전이전혀 없고, 퇴행된 상태로 아무런 희망이 없이 재활치료나 받으면서 지내게됩니다.
조울증감정이 한없이 조증(manic)적 이어서 지나친 과대망상, 지나친 자신감, 과도한 행동 등이 수반되거나 조증 시기가 끝나면, 우울증(depression) 시기가 되어 한없이 우울하고 무기력하며 자기비하감에 젖는 행태를 보이는 질병입니다. 이 또한 정신분열증처럼 잔류증상(무기력, 게으름, 우울감, 무능력, 발전을 위한 노력의 결여 등)으로 인해 사회적 대인관계의 문제 정상적인 경쟁적인 직업활동 및 정상적인 결혼 생활 불가능한 상태로 인생의 발전이 전혀 없고 퇴행된 상태로 아무런 희망이 없이 재활치료나 받으면서 지내게됩니다. 충동장애비욕구나 음주 등의 행동, 자기자제가 불가능하여 계속 자신의 욕망이나 욕구를 적당히 제어하지 못하고, 사건/사고를 일으키는 행동장애입니다. 그리하여 계속 부모님의 속을 썩이게 하며, 자신의 행동의 책임감과 자기 절제가 없게되어 가정의 재정문제를 어렵게 합니다.
적응장애학교, 사회, 군대 등에 적응하지 못하여 휴학하거나 휴학을 반복하거나 아예 현실로부터 적응하지 못하고 부적응하여 정상적이고 효율적인 사회생활을 하지 못합니다. 한번 적응 문제가 생기게 되면 그후에는 겨우 한계적 적응만을 하거나 외적으로는 큰 문제가 없는데도 아예 현실로부터 퇴장하여 무능한 사람으로 살아가게 됩니다.
성격장애정신분열증, 조울증처럼 명백한 정신증상은 없으나 사회생활이 안되고 사회부적응 상태에 들어가거나 원만한 가정, 사회, 학교, 군대생활이 안됩니다. 우울형, 회피형, 의존형, 자아도취형, 폭발형, 정신분열형, 히스테리형, 경계선형 등이 있습니다. 겉보기에는 전혀 문제가 없어 보이나 내면적으로는 큰문제가 있는 경우이며 계속 결혼 가정 직장문제를 일으켜서 가족을 고통 속에 빠지게 합니다. 그저 소심하고 내성적으로만 보이는 조용한 성격장애도 있고 계속 문제를 일으키는 시끄러운 성격장애도 있습니다. 우울증, 무기력증청소년기에는 여러 가지 이유, 즉 성격, 가정문제, 학교 스트레스, 교우관계 등으로 우울증이 잘 생기며 인생에 대한 무의미, 무기력에 빠지기 쉽습니다. 수면장애, 식욕부진, 체중감소 등의 전형적인 우울증이 있지만 외부적으로는 별 문제가 없는 듯한 가면 우울증이 더 큰 문제일 수 있습니다. 긍정적 사고방식이나 의지를 강조하는 방식으로는 우울증은 개선되기 어렵습니다. 강박증자신도 필요 없는 사고나 행동인줄 알지만 강박적인 생각이 반복되거나 손을 반복해서 씻는 등의 강박 반복행동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입니다. 의지나 자기 암시로는 치료되지 않으며 증상의 원인이 되는 배후의 성격이나 심리나 정서를 치료해야 장기간 약물만을 복용하지 않고 치료될 수 있습니다. 섭식장애여러 원인에 의해 식이 및 섭식에 장애를 보이는 병으로서 성격, 가치관, 환경, 부모와의 관계, 사회적 대인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 생겨야 벗어날 수 있습니다. 이 역시 증상의 원인이 되는 배후의 성격이나 심리나 정서를 치료해야 장기간 약물만을 복용하지 않고 치료될 수 있습니다. 틱장애틱장애는 우선적으로 약물치료가 1차적인 치료이지만 내면의 분노, 불안, 우울 등이 해소되고 성격이 유연해지면 증상이 해결되고, 약을 장기간으로 복용하지 않고도 완화될 수 있습니다. 알코올 &약물 의존,중독청소년/청년기에 알코올, 약물에 노출되어 중단하지 못하고 계속 중독상태에 있으면서 자신의 인생을 망쳐가는 경우를 말합니다. 몇 가지 조언과 충고로는 변화되지 않으며 본인의 의지만으로는 변화되기 힘듭니다. 성격과 가치관이 근본적으로 변화되어야 합니다